분류 전체보기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롤 op.gg 오버레이 기능 사용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평소 즐겨하는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를 할 때 무조건 사용하는 프로그램인 op.gg에서 오버레이 기능이 나와 사용해려고 합니다! 먼저 OP.GG란? 리그 오브 레전드의 전적 검색 사이트로 시작해서 라이엇 게임즈에서 공개한 API를 기반으로 승률,픽률,아이템, 챔피언 티어 등 여러 정보를 분석하고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또한 인게임 정보를 통해 해당 게임의 실시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롤 뿐만 아니라 tft, 발로란트 등 다양한 게임의 서비스를 제공하오니,해당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라면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에 오버레이 기능이 새로 추가가 되면서 사용해본 후기를 작성해보려 합니다! OP.GG 프로그램의 오버레이 탭입니다! 보시면 스펠&스킬 체크, 인게임 로.. 흐르는 액체 만들기 먼저, 바닥을 만들기 위해 tube 노드를 사용해 긴 원통을 만들었다. 원통에서 clip 노드로 반토막 자른 후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기운 다음, mountain 노드로 울퉁불퉁하게 만들었다. 또 polyextrude 노드로 면들을 넓혔다. 구체를 하나 만들고 포인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dopnet 노드를 새로 만들어 제1 입력에 pointfromvolume, 제2 입력에 transform을 연결한다. pointfromvolume의 Point Separation 을 낮출 수록 정밀도가 높아진다. 물을 만들기 위한 flip object 노드를 생성하고 sop path 파라미터를 비운다. source volume DOP를 만들고 initialize 파라미터를 Source FLIP으로 바꾸고, Volume .. 상자 파괴 후디니를 공부하면서 처음으로 파괴하는 것을 만들었다. 아주 간단한 것이지만 상자를 떨어뜨려서 부딪힘과 동시에 부서지는 것이다. 먼저, sopnet에서 box 노드로 상자를 하나 생성했다. 거기에 transform 노드를 사용하여 모양과 위치를 잡아주고, dopnet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효과를 집어넣기 시작했다. dopnet을 보면 rdb라는 노드를 생성해서 sop path 라는 파라미터로 sopnet에 있는 transform1 노드와 연결을 시켰다. `opinputpath`라는 함수로 지정된 노드 즉, transform1 노드에 입력하는 노드인 rbd 노드의 경로를 반환하였다. -> rbd에 적용시킨 값이 transform1에 적용된다는 것 같다. 그 다음 rigid body solver 노드를 넣어 솔.. 이전 1 다음